[리뷰] 침묵을 통한 침묵 들여다보기: 킥 더 머신 다큐멘터리 콜렉티브의 〈침묵 Silence〉(2020)

• 참고: 〈침묵 Silence〉(2020)은 옵/신 스페이스에서 2021년 10월 29일부터 2021년 11월 14일까지 감상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 ☞ 옵/신 페스티벌 사이트)


2021년 10월 29일 금요일 13시, 옵/신 스페이스에서 킥 더 머신 다큐멘터리 콜렉티브(Kick the Machine Documentary Collective)의 〈침묵 Silence〉(2020)을 봤다. 〈침묵〉은 〈메모리아 Memoria〉(2021)와 더불어 올해 본(혹은 ‘체험’한) 것 중 가장 인상 깊은 작품이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광주 ACC의 의뢰를 받아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이 이끄는 팀)이 제작한 침묵은 ’1976년 10월 6일 탐마삿대학교 학살 사건’에 관한 2채널 영상설치작품이다. 한 스크린(왼쪽 스크린)에는 다종다양한 사진, 영상 푸티지들을 비롯한 무빙-이미지가, 다른 스크린(오른쪽 스크린)에는 (디스토피아적 소설의 분위기를 풍기는) 텍스트-이미지가 주로 나열된다. 

두 개의 스크린은 옵/신 스페이스 지하, 어두운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스크린에 투사되는 이미지는, 물론 한 공간 내에 존재하긴 하지만,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즉, 여기 이미지와 저기 이미지는 일견 ‘직접적으로/상호적으로’ 관련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어두운 공간에서 눈앞에 보이는 것이라곤 오로지 두 스크린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이기에, 자연스럽게 혹은 어쩔 수 없이 그 두 이미지를 이어보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이어본다’라는 행위다. (문득 2018년 광주 비엔날레에서 아피찻퐁이 선보인 장소특정적 미술작품 별자리 Constellations의 감상 방법이 떠오른다. 구 국군광주병원 내 특정 공간, 사물, 이미지 등이 ‘별’이라면, 여러 개의 별을 이어서 하나의 ‘별자리’로 만드는 것은 오로지 관람객의 몫이다.) 어두운 공간에 붕 떠 있는 듯한 두 스크린의 이미지들을 이어보는 것은 순전히 나의 문제, 정확히는 나의 의지의 문제다. 그런데 일견 ‘직접적으로/상호적으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 두 이미지를 이어보기로 결심하고, 그 결심을 실천하면, 그 두 이미지가 기묘하게 공명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침묵의 초반부. 왼쪽 스크린에는 누워 있는(그러나 죽은 것인지, 잠든 것인지는 알 수 없는) 자의 이미지가 나열되고, 오른쪽 스크린에는 ‘어느 날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누군가의 이야기’를 담은 텍스트-이미지가 나열된다. 이 이야기(의 초반부)는 대강 다음과 같다: ‘그 누군가가 꿈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래서 계속 잠을 자며 꿈을 꾸려고 한다. 그러다 전국 꿈 대회가 열린다. 그 누군가의 꿈이 베스트셀러가 된다.’ 이 일련의 이야기는 왼쪽 스크린의 이미지와 일견 무관해 보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주 무관하진 않다. ‘어쩌면 이 일련의 이야기는 왼쪽 스크린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을 기반으로 아피찻퐁이 픽션화한 것일지도 모른다’라는 ‘느낌’이 불쑥 든다. 

계속 여기 이미지와 저기 이미지를 이어보다 보면, 어떤 링크 지점을 마주하게 된다. 그 지점은 바로 ’욕설=음악 코드’를 표기한 텍스트-이미지가 나올 때다. 이때부터 왼쪽 스크린과 오른쪽 스크린이 동기화된다. 이미지가 양쪽 스크린에서 번갈아 나오기도, 동시에 나오기도 한다. 그러다 오른쪽 스크린에는 더 이상 이미지가 나오지 않고(즉, 블랙아웃 상태가 되고), 왼쪽 스크린에만 점점 확대되는 빨간 원의 이미지가 나온다. 이 압도적 순간 이후에, 왼쪽 스크린에 ’10.6 사태’ 영상 푸티지들이 가감 없이 연쇄적으로 등장한다. 또한 오른쪽 스크린에 나타나는 텍스트-이미지의 이야기는 점차 파국으로 치닫는다. 이 이야기(의 후반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부가 어둠 속으로 도망친 그 누군가를 찾기 위해 불꽃놀이에 예산을 모두 쓰고, 다른 사람들은 그 불꽃놀이 소리 때문에 귀를 막는다. 그 누군가는 더 이상 이미지를 보지 않기 위해 눈을 감는다.’

죽임을 당한 자는 침묵할 수밖에 없고, 죽인 자는 침묵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강제된 침묵과 의도적으로 선택된 침묵. 여기에 아피찻퐁은 또 다른 침묵, 즉 수면이라는 축을 추가하여 ‘침묵을 통한 침묵 들여다보기’를 행한다. 결국 침묵은, ‘수면의 정치적 아이디어’[1]를 근간으로 하는 픽션을 (무빙-이미지화하지 않고) 텍스트-이미지화하고, 이를 학살의 가해자들이 숨기려고 했던 ‘바로 그 이미지’와 이어보게 만듦으로써 잊힌 기억과 역사를 지금, 여기에 적극적으로 (재)소환하는 작업이다. 침묵은 학살의 가해자들뿐만 아니라 이 학살을 방관한 자들, 혹은 알려고 하지 않는 자들 모두를 저격하고 있다. 욕설을 드러내는 데 마다하지 않는 태도, 혹은 욕을 할 수밖에 없는 심정이 그대로 투영된 침묵은 아마도 아피찻퐁의 가장 노골적인 작품으로 기억될 것이다. 

※주

[1] ‘수면의 정치적 아이디어’, 이는 아피찻퐁의 표현이다. 그가 한 말을 그대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의 경험은 본질적으로 영화, 어둠에 잠긴 방 안의 장치와 연관되어 있어요. 우리는 수면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이미지의 세계 내부로 들어갈 수 있죠. 그 안에서 깨어있는 삶에 대한 실마리나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맞아요. 어떤 의미로는 수면은 무기입니다. 왜냐하면 그 안에서 우리가 잊어버린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것들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Cahiers du cinéma, janvier 2019, 번역문)

※사진

All photos were taken by KIM Do-Hyung (in Ob/Scene Space)

[사진1]

[사진2]

[사진3]

[사진4]

[사진5]


댓글 2개:

  1. 추가 설명
    : 〈침묵〉을 전시/상영하는 방식에 있어서 한국과 태국이 다소 다른 것 같다. 본문에서는 〈침묵〉을 2채널 영상설치작품이라고 적었다. 하지만 100 Tonson Foundation 사이트에 따르면, 〈침묵〉이 3채널 싱크로나이즈드 비디오 인스톨레이션(three-channel synchronized video installation)으로 소개되어 있다.
    : 100 Tonson Foundation 페이스북 게시글(2021년 10월 23일)을 보면, 〈침묵〉 전시와 관련된 사진이 업로드되어 있다. 그 사진에 따르면, 두 개의 스크린이 관객 앞쪽에 있고, ‘빨간 원’이 투사되는 스크린이 관객 뒤쪽에 하나 더 있다.
    : 옵/신 스페이스에는 ‘빨간 원’만 투사되는 스크린이 따로 없다. 따라서 한국에서 전시/상영되는 〈침묵〉은 2채널 비디오가 맞다(고 생각한다).

    답글삭제
  2. 추가 자료
    : 다음은 〈침묵〉 속 텍스트 ‘불완전 전사’다.
    : 일부 표현이 오리지널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오래전 일어난 일입니다. 우리는 귀가 먹었습니다.
    나는 귀머거리가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가 귀머거리가 되었습니다.
    마을은 쥐 죽은 듯이 조용했습니다.
    하늘에는 불꽃들이 조용히 번쩍였습니다.
    그러나 꿈속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더 많이 잠을 자고 서로 꿈을 나누었습니다.
    전국 수면 대회가 열렸습니다.
    나는 직장을 그만두고 꿈을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내 꿈은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내 꿈에는 귀청이 떨어질 듯한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러나 국가대표 예술가들처럼 꿈이 영화로 만들어질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나는 오랫동안 잠을 잘 수 있도록 수면제를 먹었습니다.
    불꽃이 가득한 도시를 꿈꿨습니다.
    불꽃이 하늘 위에서 빛나고 있는 동안 나는 내내 옆에 앉아 있는 남자를 보았습니다.
    불꽃이 사그라지면 그는 사라졌습니다.
    하늘에서 또 다른 불꽃이 터졌습니다.
    불꽃의 빛이 그를 다시 나타나게 했습니다.
    그는 그림자로 사라지기 전에 불꽃 소리 속에서
    그는 무언가를 말했습니다.
    나는 불꽃을 기다리면서 귀를 기울여 들었습니다.
    어둠 속에서 불꽃이 장미꽃 모양으로 빛납니다.
    그의 몸은 붉은빛으로 나타납니다.
    “찾고 있어…” 나는 그의 입술을 빨리 읽었습니다.
    “침묵을”
    하늘에서 빛이 사라졌습니다. 그 역시도.
    나는 꿈에서 한 달이라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나는 독순술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나는 사라지고 나타나길 반복하는 남자의 이야기를 모았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음악처럼 말하는 도시의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그곳에서는 욕설도 멜로디 같았습니다.
    그는 혼자 음정이 맞지 않게 노래했습니다.
    애국가도 욕설이 되어 나왔습니다.
    그는 도시를 탈출해 정처 없이 떠다녔습니다.
    정부는 어둠 속에서 그를 찾기 위해서 불꽃놀이에 예산을 쏟아 부었습니다.
    여러 색의 불꽃이 터지고 타내렸습니다. 그 밝은 빛이 도시 건물의 유리에 비쳤습니다.
    나는 수천 명의 엑스트라를 봤습니다. 영화감독과 수십 대의 카메라를 보았습니다.
    소리가 너무 커서 귀를 막아야 했습니다.
    -빛의 소리-
    나는 천재노인회 금메달을 받았습니다.
    “은유가 대단히 감동적이며…”
    이 작업 후 난 더는 눈을 뜨지 않을 겁니다.
    나는 내가 보게 될 이미지와
    듣게 될 소리만을 묘사할 겁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