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기적을 만들어내기 - 다미앙 매니블과의 대담 (카이에 뒤 시네마 2022년 7/8월호 수록)

 Fabriquer des miracles (Entretien avec Damien Manivel)

Entretien réalisé par Olivia Cooper-Hadjian à Paris, le 21 juin.


  • 참고1: 본문("기적을 만들어내기")은 카이에 뒤 시네마(Cahiers du cinéma) 2022년 7/8월호에 수록된 글을 번역한 것이다. 따라서 본문의 저작권은 일차적으로 카이에 뒤 시네마에 있다.
  • 참고2: 본문 속 그림은 카이에 뒤 시네마 측이 아닌 내가 임의로 삽입한 것이다.

Q1. <막달라 Magdala>(2022)는 엘사 월리아스톤(Elsa Wolliaston)과 세 번째 협업 작품입니다. 감독님과 그녀 사이의 관계가 이 영화의 시작점이었나요?

A1. 원래 저는 댄서였습니다. 엘사는 무용가이자 훌륭한 댄서입니다. 엘사는 제 영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2009년에 <레이디 위드 더 독 La dame au chien>(2010)을 엘사와 함께 작업한 이후로 저는 항상 그녀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세우려고 노력했습니다. <이사도라의 아이들 Les enfants d'Isadora>(2019)의 마지막 숏[그림1], 즉 엘사가 하늘을 우러러보는 그 숏을 보면서 저는 다음 영화는 반드시 성스러움(le sacré)을 중심으로 하고, 또 전적으로 그녀에 의해서 진행되게끔 해야 한다고 혼자 중얼거렸습니다. 저는 엘사에게 신격화의 형상 속에서 웅장한 영화적 죽음(une mort cinématographique)을 연기하는 기회를 만들어주고 싶었습니다. 저는 종교적 인물들(즉, 수녀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막달라 마리아(Marie Madeleine)로 결정하기 전에는, 성모 마리아(Vierge Marie)를 생각해보기도 했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가 영적인 사막이나 숲으로 들어가 은거했다는 이야기도 종종 보이던데, 숲에서 실제로 벌어진 일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녀와 관련된 모든 이야기가 공상의 나래를 펼치거나 상상적 작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림1]

Q2. 기적을 재현하는 것에 망설임이 있진 않았나요?

A2. 통상 기적과 같은 주제를 택한다면, 이런 주제를 완벽하게 다룰 수는 없습니다. 적은 제작비로 기적을 만들어내려고 애쓴 일은 즐거웠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기적은, 관객이 영화에 자신을 투영하고 영화를 믿는 능력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하지만 이런 일이 가능하게 만드는 데 시간이 걸렸습니다.

Q3. 영화 제작 과정에서 16mm 촬영이 도움이 되었나요?

A3. 필름으로 촬영하는 것은 매우 직관적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생각을 했었어요. 이 영화가 엘사와 작업하는 마지막 영화가 될지도 모르는데, 그녀라는 존재를 물리적인 매체에 기록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저는 경계에 놓인 상황, 가령 새벽에, 안개 속에서, 촛불이 켜진 어둠 속에서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과 엘사의 신체 사이에는 대화(un dialogue)가 있습니다. 매우 불안정한 대화죠. 이미지는 부스러져 언제든지 소멸할 것 같은 느낌을 자아냅니다. 마찬가지로 이 영화는 핸드헬드 카메라(caméra à l’épaule; 어깨에 건 카메라)로 촬영된 첫 번째 영화입니다. 저는 사람들이 엘사를 향한 시선(un regard sur Elsa)을 느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Q4. <막달라>는 이야기가 매우 희박한 초기 단편들처럼 내러티브적 미니멀리즘(minimalisme narratif)으로 돌아가는데요. 그 결과 영화는 무용(la danse)과 연결됩니다. 연기자의 제스처를 무용적인 방식으로 운용했나요?

A4. 미니멀리즘은 제가 사물들을 느끼는 방식으로부터 기인한 것입니다. 너무 빨리 지나가 버리는 삶이나 대부분의 영화 속에서 보지 못하는 모든 디테일들을 사람들이 감지하게 되기를 저는 간절히 원합니다. 그래서 움직이는 신체 내에 감정이 있음을 관객으로 하여금 느끼게 만드는 가능성을 만들 수 있는 어떤 형식을 따르게 된 것입니다. 까다로운 환경에서 촬영을 했기에 저희는 엘사와 테이크를 많이 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저는 엘사에게 카메라를 가지고 무엇을 찍으려고 하는지, 그녀가 행해야 하는 제스처가 무엇인지에 관해 간략히 설명했고, 그녀만의 방식으로 사물들을 육화(incarner)하여 그것들을 체험하게끔 내버려 두었습니다. 촬영이 제 마음대로 진행되지 않을 때 저는 차라리 제 관점과 아이디어를 바꾸었습니다. 매 테이크가 불가능함과의 싸움이었죠.

Q5. 항상 감독님 본인 회사[MLD Films]를 통해 영화를 제작하나요?

A5. 마틴 베르티에*가 저희 쪽으로 합류했는데요. 그가 없었다면, 그렇게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해내지 못했을 겁니다. 매 순간이 전쟁 같거든요. 저는 시나리오 없이 작업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매번 저희와 동행할 용기를 가진 파트너를 찾아야만 합니다. 한 영화로 벌어들인 돈은 다음 영화에 재투자됩니다. <막달라>의 경우, 저희는 국가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못했습니다. 제 영화가 대중 친화적이지 않다는 두려움 때문에 점점 더 위축된 것 같아요. 제 생각에, 상황이 이렇게 된 것에는 각종 기관과 영화관 경영자의 책임이 상당 부분 있어요. 최근에는 영화제 쪽에도 책임이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저를 매우 슬프게 만듭니다. 저는 예술가가 되려는 성향을 전혀 갖고 있지 않았는데, 저를 압도하는 어떤 작품들을 만나면서 그런 기질이 생겼습니다. 영화가 어떠해야 한다고 표준화(uniformiser)하려는 것, 이는 곧 관객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영화를 계속 예술로 여길 책임이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예술 따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2019년 <이사도라의 아이들>의 프로듀서였다. 최근에는 파스칼 태그나티의 <코르시카의 여름 I Comete>(2021)의 프로듀서였다. 편집자 주.

댓글 없음:

댓글 쓰기